본문 바로가기

도마복음137

도마복음 Logion 28-4 : 말씀 28-4 1. 동등접속사 And는 앞 문장(내용)과 이어준다. 앞 문장에 추가하는 내용이 있다. 2. 전체 문장은 1형식이며, 동사 suffered를 두 개의 전치사구와 1개의 부사절이 수식하고 있다. 이유를 나타내는 종속접속사 because가 부사절을 이끌고 있다. 3. because가 이끄는 문장은 2개이며, 이 문장들이 and에 의하여 연결되고 있다. 4. 이 동등접속사 and는 단순히 ‘그리고’로 이어주는 것이 아니라 앞 문장이 원인, 뒷 문장이 결과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 and는 ‘때문에’로 옮기는 것이 적절하다. 2022. 11. 17.
도마복음 Logion 28-3 : 말씀 28-3 1. 앞 문장과 마찬가지로 동사(found) 뒤에 (대)명사(none)가 오고, 그 다음에 형용사 (thirsty)가 오면 5형식이다. 2. 목말라하는 사람이 그들 중에 한명도 없다는 것이다: ‘None of them was thirsty.’ cf. 나는 그들 어느 누구도 목마른 자를 발견할 수 없었다.(도올) Vs 목말라 하는 것 2022. 11. 16.
도마복음 Logion 28-2 : 말씀 28-2 1. 동사(found) 다음에 명사(all)가 오고, 그 다음에 형용사(drunk)가 오면 5형식 문장이다. of them은 명사 all을 수식하는 형용사적 전치사구다. 수식어다. 2. drunk를 과거분사구로도 볼 수 있다: ed + drink = drunk 3. 술이 취한 사람은 내(I)가 아니라 그들 모두(all)이다: ‘All were drunk.’ 2022. 11. 15.
도마복음 Logion 28-1 : 말씀 28-1 1. 일단 동등접속사 and는 앞 문장(내용)과 뒷 문장(내용)을 연결한다. 2. 앞 문장은 1형식으로 동사 stood는 전치사구 in the midst의 수식을 받고 있다. 이 전치사구는 부사적이다. 또 전치사구 of the world가 있다. 이것은 앞의 전치사(in)의 목적격인 명사 midst를 수식한다. 따라서 형용사적이다. 3. 뒷 문장도 1형식으로 동사 뒤에 2개의 전치사구가 있다. 이것도 앞의 것은 부사적이고 뒤의 것은 형용사적인가? 그렇지 않다. 두 개 모두 동사 appeared를 수식한다. 따라서 모두 부사적이다. 4. 그러면 전치사구가 형용사적인가, 부사적인가를 어떻게 구별하는가? 그것은 문맥으로, 의미상으로 파악하는 수밖에 없다. 5. I took my stand(place) in t.. 2022. 1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