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089: 의문사절 - 의문 대명사절 (2): what
Ⅰ. 의문 대명사절을 이끄는 What - 주어, 보어, 목적어 역할
1. What (1): 무엇이, 무엇(이다), 무엇을
① What will happen next month is a mystery. - 주어절
(다음 달에 무엇이 일어날지는 미스테리다.)
② Our main concern is what will happen next month. - 주격 보어절
(우리의 주된 관심은 다음 달에 무엇이 일어날지이다.)
③ We don’t know what will happen next month? - 목적어절
(우리는 다음 달에 무엇이 일어날지를 알지 못한다.)
- What은 의문 대명사지만, 접속사로 문장을 이끌 수 있다. What이
이끄는 절은 주어, 보어, 목적어로 올 수 있다. ①-문장에서는 주어절이며,
②-문장에서는 보어절이며, ③-문장에서는 목적어절이다.
그리고 what은 자기가 속한 문장에서 모두 동사 will happen의 주어다.
여기서 what은 접속사 역할도 하면서 자기 본래의 의미도 가진다.
④ I don’t know what it is.(나는 그것이 무엇인지 모른다.)
- 동사가 2개 있다. do know와 is다. 접속사는 what이다. 그리고
what이 이끄는 절은 know의 목적어절로 왔으며, what은 자기가 속한
문장에서 동사 is의 주격 보어다(it is what).
⑤ I asked him what he wanted to buy.(나는 그에게 무엇을 사기를 원하는지를 물었다.)
- 동사가 2개 있다. asked와 wanted다. 이 동사들이 속한 2개 문장을 이어주는
접속사는 what이다. 그리고 what절은 4형식에서 직접 목적어절로 왔다.
what이 이끄는 절에서 동사는 wanted며, 목적어로 부정사구 to buy가
왔으며, what은 이 buy의 목적어다(she wanted to buy what). 하지만
의문사는 자기가 속한 문장 맨 앞에 나오므로 앞으로 나갔다
(what she wanted to buy).
⑥ My teacher are explaining what the problem is.
(나의 선생님께서 문제가 무엇인지를 설명하시고 계시다.)
- what이 이끄는 절은 동사 are explaining의 목적어이며, what은 자기가 속한
문장에서 is의 주격 보어지만 앞으로 나갔다;
the problem is what → what the problem is.
2. What (2): ...한 것이, ...한 것이다, ...한 것을
What이 명사절을 이끌 경우, 원래 가지고 있는 의미인 ‘무엇’을 뜻하기도
하지만, ‘...한 것’의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What’이 어떤 의미로 쓰였는지는
문맥상에서 파악해야 한다.
cf. I want to know what my husband bought there yesterday.
(나는 나의 남편이 어제 그곳에서 무엇을 샀는지 알고 싶다.)
⑦ This is what he bought there yesterday.
(이것이 나의 남편이 어제 그곳에서 산 것이다.)
- 비교 문장의 what은 ‘무엇’으로 번역하지만, ⑦-문장의 what을 ‘무엇’으로
번역하면 어색하다. 의미상으로 파악해야 한다. 그러나 문법적인 역할은 같다.
모두 명사절이다. 그러나 세부적으로 비교 문장에서 what절은 목적어절이며 (know의 목적어),
⑦-문장에서는 주격 보어절이다.
더 나아가, what은 what절 안에서 비교 문장에서 뿐만 아니라 ⑦-문장에서도
모두 bought의 목적어로 역할을 한다.
⑧ What I enjoyed most was fishing on weekend.
(내가 가장 즐기는 것은 주말에 낚시하는 것이었다.)
- What절은 주어이며, what은 자기가 속한 문장에서 enjoyed의 목적어다.
전체 문장은 2형식으로 동명사구(fishing on weekend)가 주격 보어로 왔다.
⑨ I am not what I was.
(나는 내가 이었던 것이 아니다. = 나는 과거의 내가 아니다.)
- what절이 보어며, what은 자기가 속한 문장에서 주격 보어다(I was what).
의미상으로, 이 문장은 am으로 표현된 현재의 나와 was로 표현된 과거의
나를 비교하고 있다.
⑩ The noodle was what I enjoyed most.(국수가 내가 가장 즐기는 것이었다.)
- what절은 보어절이며, what은 자기가 속한 문장에서 enjoyed의 목적어다.
⑪ I don’t like what he wrote.(나는 그가 쓴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cf. I don’t know what he wrote.(나는 그가 무엇을 썼는지 알지 못한다.)
- 모두 what은 목적어절을 이끌며, what은 자기가 속한 문장에서 wrote의
목적어다(he wrote what). 의미상으로, 다르게 번역될 뿐이다.
⑪-문장에서는 ‘...한 것’으로, 비교 문장에서는 ‘무엇’으로 번역해야 의미가
통한다.
================================================
P-089: 의문사절 - 의문 대명사절 (2): what
0881 | She asked me what happened last night. |
동사가 asked와 happened다. 따라서 문장이 2개 있으며, 접속사가 있어야 한다. what이다. what절은 4형식의 직접 목적어다. me가 간접 목적어다. 그럼 ‘what’을 ‘무엇’으로 번역할 것인가, ‘...한 것’으로 번역할 것인가? 의미상으로 파악! 이 문장에서는 ‘무엇’으로 번역해야 의미가 통한다. what절 안에서 what은 주어다. 주어일 경우 ‘무엇이’로 번역한다. |
|
0882 | I asked her what it was. |
여기서도 what절은 4형식의 직접 목적어다. her가 간접 목적어다. 그리고 what은 문장을 이어주는 역할도 하며, 원래 의미와 가능도 가진다. 이 문장에서도 what은 ‘무엇’으로 번역하며, what절 안에서 주격 보어다. |
|
0883 | 1. What she said made me angry. 2. I don’t know what she said. |
what절을 이끄는 what은 ‘무엇’으로나 ‘...한 것’으로 번역한다. 의미상으로 파악한다. 또 what절은 명사절을 이끌기 때문에 문장 안에서 주어, 보어, 목적어로 쓰인다. 1-문장의 what절은 주어이며, 여기서 what은 ‘...한 것’으로 번역한다. 또한 what절 안에서 what은 said의 목적어지만 의문사이므로 앞으로 나왔다. 2-문장의 what절은 목적어이며, 여기서 what은 ‘무엇’으로 번역한다. 여기서도 what절 안에서 what은 said의 목적어지만 의문사이므로 앞으로 나갔다. *she said What → What she said. |
|
0884 | I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what people are saying. |
5형식이다. it이 목적어며, difficult가 목적격 보어다. 정확히 말하면, it은 가목적어고 부정사구가 진목적어다. 진목적어 안에서 what절은 understand의 목적어다. what은 ‘무엇’으로 번역하며, are saying의 목적어다. |
|
0885 | Who knows what would happen next moment? |
앞의 Who는 의문사로 의문문을 만들며, 전체 문장의 주어다. what절은 knows의 목적어다. what절 안에서 what은 주어다. |
|
0886 | I know what you mean by the word. |
what절은 know의 목적어다. what절 안에서 what은 mean의 목적어다. | |
0887 | What I want to drink is a cup of hot cocoa. |
what절은 is의 주어이며, what은 목적어로 온 부정사구 to drink의 목적어다. I want to drink What → What I want to drink. |
|
0888 | This is what he says; what he says is quite true. |
똑같은 what he says지만, 앞 문장에서는 is의 주격 보어이며, 뒤 문장에서는 is의 주어다. 두 what절에서 what은 says의 목적어다. 모두 ‘...한 것’으로 번역한다. |
|
0889 | Things are not what they seem. |
what절은 are의 주격 보어이다. 그리고 what은 what절 안에서 seem의 주격 보어다. 여기서 비교되는 것은 are와 seem이다. seem은 사물이 겉으로 보이는 것(현상)을 의미하며, are는 사물의 본질을 의미한다. |
|
0890 | 1. I hope you’re going to give me what I need. 2. Probably you don’t know what I need. |
1-문장은 동사가 3개다; hope, are going to give, need. 접속사가 2개 있어야 한다. 그런데 what 하나 밖에 없다. 그렇다면 하나는 생략되었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문장이 시작되는 곳 앞에서 생략된다. you 앞이다. 무엇이 생략되었는가? that이다. 목적어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은 생략될 수 있기 때문이다. what절은 직접 목적어다. 여기서 what은 ‘...한 것’으로 번역해야 의미가 통한다. 2-문장에서 what이 이끄는 절은 know의 목적어다. 그리고 what절 안에서 what은 need의 목적어다. 여기서는 what은 ‘무엇’으로 번역해야 의미가 통한다. |
|
'단계영어123'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계(123시간) 영어 - 091 (1) | 2022.12.05 |
---|---|
단계(123시간) 영어 - 090 (0) | 2022.12.02 |
단계(123시간) 영어 - 088 (0) | 2022.11.30 |
단계(123시간) 영어 - 087 (0) | 2022.11.29 |
단계(123시간) 영어 - 086 (0) | 2022.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