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계영어123

단계(123시간) 영어 - 087

by 생각하는 하늘 2022. 11. 29.
728x90

087: That절과 Whether절을 대신하는 가주어와 가목적어 It,

         그리고 전치사의 목적어로 오는 that절과 Whether

 

. 가주어 It과 진주어절

     종속 접속사 ThatWhether가 주어절을 이끌 때, 가주어 it을 내세우기도

     한다.

That she is a Chinese is true. It is true that she is a Chinese.

      (그녀가 중국인이라는 것은 사실이다.)

-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이 주어로 올 경우 가주어 It을 내세우기도 한다.

   that 이하가 진주어절이다.

 

It appears that we may be wrong.(우리가 틀릴 수도 있는 것처럼 보인다.)

- It은 가주어, that 이하가 진주어절이다. 보통 “It appears that S + V”

   “SV처럼 보인다.”로 번역한다.

 

It happened that I had no money with me.

     (나에게 돈이 없는 것이 우연히 일어났다(우연히 나는 돈이 없었다.)

- It이 가주어, that 이하가 진주어절이다. 보통 “It happened that S + V”

  “우연히 S에게 V가 일어났다.”로 번역한다.

 

Whether he comes or not makes no difference.

It makes no difference whether he comes or not.

     (그가 오느냐 안 오느냐는 아무런 차이를 만들지 않는다.)

- It이 가주어, whether he comes or not이 진주어절이다.

 

It is not certain whether she will come here or not.

     (그가 올 것인지 안 올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 It이 가주어, whether she ... or not이 진주어절이다.

 

. 5형식 문장에서 가목적어 it과 진목적어절

      5형식 문장에서 종속 접속사 ThatWhether가 목적어절을 이끌 때,

      가목적어 it을 내세운다.

 

She made it clear that she was not interested in politics.

      (그녀는 정치에 관심이 없다는 것을 확실히 했다.)

- “She made it clear.”로 완벽한 5형식이다(동사 made, 목적어 it, 목적격

   보어 clear). 이때 it이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한다. whether절이 설명해

   준다. 문법적으로 it이 가목적어, that절이 진목적어다.

 

Lets keep it secret that we got married.(우리가 결혼했다는 것을 비밀로 유지하자.)

- “Let’s keep it secret.”to가 생략된 부정사구가 목적격 보어로 온 완벽한

   5형식이다. 이때 it은 의미상으로 that절을 가리킨다. 따라서 원형 부정사구

   안에서 it은 가목적어고, that절이 진목적어다.

 

. 전치사의 목적어로 오는 that절과 whether

I am fortunate in that I have many friends to help me.

     (나는 나를 도와줄 친구가 많이 있다는 점에서 행운이다.)

- 전치사 다음에는 명사가 와야 한다. 이때 that절이 명사절을 이끌기 때문에

  전치사의 목적어로도 올 수 있다. that절은 전치사 in의 목적어로 왔다.

 

The two sisters disagree about whether the Pope is infallible.

     (두 수녀는 교황이 오류를 범하는지 아닌지에 대하여 의견을 달리했다.)

- whether절도 명사절을 이끌기 때문에 전치사 about의 목적어로 올 수

   있다.

 

Im not certain (of) whether I can do it within an hour.

     (나는 내가 그것을 한 시간 안에 할 수 있을지 없을지에 대하여 확신하지 못한다.)

- 형용사 certain 다음에 전치사 of가 생략된 문장 구조다. 따라서 whether 이끄는 절은

   전치사의 목적어다. 엄격한 의미에서, whether가 이끄는 절은 부사적 목적어절이다.

 

Im not sure whether shes telling the truth.

    (나는 그녀가 진실을 말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신하지 못한다.)

- 형용사 sure 다음에 전치사 of가 생략된 문장 구조다. 따라서 whether 이끄는 절은

   전치사의 of의 목적어다. 엄격한 의미에서, whether가 이끄는 절은 부사적 목적어절이다.

 

=======================================================

P-087: That절과 Whether절을 대신하는 가주어와 가목적어 It,

             그리고 전치사의 목적어로 오는 that절과 Whether

0861 It is an ancient Chinese scholar Mencius’doctrine that people are good.
that이하의 문장을 없애도 문장이 성립한다. 그러면 It은 무엇인가?
의미상으로 파악! It은 가주어고, that이하가 진주어절이다.
scholarMencius는 동격이다. 즉 고대 중국학자가 맹자라는 것이다.

0862 Its unclear whether he shot himself or was murdered.
동사가 3개다. is, shot, was murdered. 접속사가 2개 있어야 한다. 하나는
명사절을 이끄는 종속 접속사 whether이며, 다른 하나는 동등 접속사 or.
It은 가주어고, whether 이하가 진주어절이다. whether절 안에서 or
shotwas murdered를 연결한다.

0863 It seems that we had no choice but to keep staying here.
It: 가주어,
that 이하: 진주어절,
but: 전치사,
to keep staying here: 전치사 but의 목적어로 온 부정사구,
staying은 동명사구로 keep의 목적어

0864 I think it natural that Elon Musk became the richest man in the world.
that이하를 빼도 완벽한 5형식이다. 그러면 it은 무엇인가? it은 가목적어고,
that이하가 진목적어절이다. natural자연적이라는 뜻이 아니라 여기서는
당연하다는 의미를 갖는다.

0865 Being wet makes it more likely that we will catch a cold.
주어는 동명사구인 Being wet. it은 가목적어고, that 이하가 진목적어절로 왔다.
여기서 likely-ly로 끝났지만 형용사다. 그러므로 5형식이다.
주어 = 동명사구(Being wet), 동사 = makes, 목적어 = it(가목적어),
목적격 보어(likely), 진목적어 = that(we will catch a cold)

0866 We have not settled the question of whether we will go back home.
전치사 of 다음에는 명사가 와야 한다. 따라서 whether절이 전치사의 목적어로 온
것이다. 전치사 ofwhether절이 합쳐져서 전치사구를 만들었으며, 이 전치사구는
앞의 명사 question를 수식한다.

0867 The new house is good except that it is too small.
전치사 except의 목적어로 that절이 왔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전치사구는
동사 is를 수식한다.

0868 That depends on whether it is a fine day.
전치사 on의 목적어로 whether절이 온 문장이다. That은 지시 대명사로 주어로
쓰였다. Whether절 안에서, it은 비인칭 it으로 날씨를 나타내며 주어이다.
그리고 day가 주격 보어인 2형식 문장이 왔다.

0869 I am sorry (for) that I am late for the meeting.
“...에 대하여 미안하다I am sorry로 보통 for가 생략된 채로 쓰인다.
그러나 구조적으로는 that절은 생략된 전치사 for의 목적어로 온 것이다.
따라서 that절은 부사적 목적어절이다.

0870 Are you sure she did that?
sure 다음에 of가 생략되고 또 전치사의 목적어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
생략된 문장이다: “Are sure of that she did that?”
뒤의 that은 지시 대명사로 did의 목적어다.

 

 

'단계영어123'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계(123시간) 영어 - 089  (0) 2022.12.01
단계(123시간) 영어 - 088  (0) 2022.11.30
단계(123시간) 영어 - 086  (0) 2022.11.28
단계(123시간) 영어 - 085  (0) 2022.11.27
단계(123시간) 영어 - 084  (0) 2022.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