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066: 부정사구의 부사적 용법 4 - 부사 수식
Ⅰ. 부정사구가 부사를 수식할 수 있다
부정사구의 수식을 받을 수 있는 부사는 2개뿐이다. too와 enough다.
보통 ‘too ... to ___ 용법’과 ‘... enough to ___ 용법’이라고 부른다.
Ⅱ. too ... to ___ :“너무 ...해서 ___할 수 없다”
① He is too young to understand this poem.
(그는 너무 어려서 이 시를 이해할 수 없다.)
- 부정사구 to understand this poem이 부사인 too를 수식하고,
또 too는 young을 수식한다. 부정사구의 동사 understand의 주체는 He다.
② This poem is too hard to understand.
(이 시는 너무 어려워서 <우리가> 이해할 수 없다.)
- is의 주체는 this poem이다. 그리고 understand의 주체는 일반인이다.
일반인도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미다. 원칙적으로는 “This poem is too
hard <for one> to understand.”가 옳다.
③ This poem is too hard to be understood.
(이 시는 너무 어려워서 이해될 수 없다.)
- 이 경우에는 본동사 is의 주체도 poem이며, 또 부정사구의 동사의 주체도
poem이므로 부정사구가 수동태로 왔다. 시가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시는 이해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앞의 ②-문장은 understand의 주체를
일반인으로 보았고, ③-문장은 주체를 poem으로 보았다.
④ That poem is too hard for the children to understand.
(저 시는 너무 어려워서 아이들이 이해할 수 없다.)
- 의미상 주어 for the children이 부정사구 앞에 왔다. 어른은 이해할 수
있지만, 어린이에게는 너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⑤ My son is too weak to carry the heavy piano.
(나의 아들은 너무 허약해서 이 무거운 피아노를 옮길 수 없으시다.)
- is의 주체도, carry의 주체도 My son이다.
⑥ The piano is too heavy for my son to carry.
(이 피아노는 너무 무거워서 나의 아들은 옮길 수 없다.)
- is의 주체는 piano이고, carry의 주체는 my son이므로 부정사구 앞에
의미상의 주어를 for my son으로 표현했다.
⑦ The piano is too heavy to be carried by my son.
(이 피아노는 너무 무거워서 아이에 의하여 옮겨질 수 없다.)
- is의 주체는 piano고, piano는 옮겨지는 것이기 때문에 부정사구가
수동태로 왔으며 뒤에 by my son이 덧붙여졌다.
⑧ She was too smart not to solve these difficult problems.
(그녀는 아주 똑똑해서 이 어려운 문제들을 풀 수 있었다.)
- too ... to ...는 부정의 의미를 가지므로, 부정사구를 부정하면 긍정의
의미를 갖는다. not은 solve를 부정한다. 합치면(부정의 부정) 풀 수
있다(긍정)는 의미다. 이때 too는 ‘너무’가 아니라 ‘아주’로 번역한다.
Ⅲ. ... enough to ___ :“___하기에 충분히 ...하다”
① She is old enough to understand this poem.
(그녀는 이 시를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나이가 들었다.)
- 부정사구 to understand this poem은 부사 enough를 수식하고,
또 enough는 앞의 형용사 old를 수식한다. 동사 is와 understand의
주체는 모두 she다.
부사 enough는 부사이지만 예외적으로 형용사를 뒤에서 수식한다.
② This poem is easy enough to understand.(이 시는 이해하기에 충분할 만큼 쉽다.)
- 부정사구 to understand는 부사 enough를 수식하고, 또 enough는 앞의
형용사 easy를 수식한다. is의 주체는 poem이고, 부정사구의 동사
understand의 주체는 일반인이므로 생략되었다.
“This poem is easy enough <for us> to understand.”
③ This poem is easy enough for a child to understand.
(이 시는 아이들이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쉽다.)
- is의 주체는 poem이고, understand의 주체는 child(의미상의 주어)다.
④ That poem is not easy enough for a child to understand.
(저 시는 아이들이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쉽지 않다.)
- 부정문이다. understand의 주체를 나타내기 위하여 앞에 for a child가 왔다.
⑤ Those apples are not ripe enough to eat.(저 사과들은 먹기에 충분히 익지 않았다.)
- 부정문이다. 부정사구의 동사 eat의 주체는 일반인이므로 표시하지 않았다.
⑥ These apples are not ripe enough for the old people to eat.
(이 사과들은 노인들이 먹기에 충분히 익지 않았다.)
- 부정문이다. 부정사구의 동사 eat의 주체는 the old people이다.
==========================================
P-066: 부정사구의 부사적 용법 4 - 부사 수식
0651 | The plate is too hot to touch. cf. The plate is too hot to be touched. |
부사 too를 보면 일단 ‘...도 역시’로 쓰였는지 아니면, ‘너무’의 의미로 쓰였는지 살펴봐야 한다. 먼저 뒤에 부정사구의 to가 왔는지 살핀다. 만약 부정사구가 왔다면, 소위 ‘too ... to ___용법’이다. 이 문장의 touch의 주체는 일반인이므로 생각했기 때문에 표시하지 않았다: The plate is too hot <for one> to touch. 비교 문장은 주체를 plate로 보았기 때문에 부정사구가 수동태로 왔다. |
|
0652 | Einstein’s theory of relativity is difficult for ordinary people to understand thoroughly. |
Einstein의 상대성 이론은 어렵다. 어떤 측면에서 어려운가? 철저히 이해하는데 있어서 어렵다. 따라서 부정사구 to understand thoroughly는 앞의 형용사 difficult를 수식한다. 또 천문학자들은 철저하게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겠지만 보통 사람들은 어렵다. 그래서 부정사구의 동사 understand의 주체를 ‘for + 목적어’로 나타냈다. people이 understand의 의미상 주어다. |
|
0653 | Einstein’s theory of relativity is too difficult for ordinary people to understand completely. |
Einstein의 상대성 이론은 <너무> 어렵다. 그래서 완벽하게 이해할 수 없다. 여기서는 부정사구 to understand completely는 앞의 부사 too를 수식하고 too는 형용사 difficult를 수식한다. too ... to ___용법이다. 또 천문학자들은 완벽하게 이해하겠지만 보통 사람들은 어렵다. 그래서 부정사구의 동사 understand의 주체를 ‘for + 목적어’로 나타냈다. 문장에서 too를 보면 뒤에 부정사구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도 문장 이해의 한 방법이다. |
|
0654 | There were too many people for me to talk to all of them. |
too 다음에 부정사구가 있다. too ... to ___용법이다. 사람이 너무 많다. 그래서 나는 그들 모두와 이야기할 수 없었다. 부정사구의 동사 talk의 주체는 me(I)다. |
|
0655 | This house is too small for my family to live in. |
too가 문장 중간에 있다. 뒤에 부정사구가 있는가? 있다. too ... to ___용법이다. 너무 작다. 그래서 그 안에 살 수 없다. 누가? 나의 가족이 그렇다. 의미상 주어다. 즉 my family가 live의 주체다. 그 ‘안’에서 살기 때문에 전치사 ‘in’이 왔다. |
|
0656 | She was tall enough to see over the heads of the other people. |
문장 안에서 enough를 보면 이것이 형용사로 쓰였는지, 아니면 부사로 쓰였는지 파악한다. 뒤에 부정사구가 따라 오면 ... enough to ___용법일 가능성이 높다. 동사 was와 see의 주체는 모두 She다. |
|
0657 | He is strong enough to lift the heavy stone. |
... enough to ___용법이다. 동사 is와 lift의 주체는 모두 He다. | |
0658 | He is not smart enough to solve this difficult problem. |
enough ... to ___용법이다. ‘___할 만큼 충분히 ...하다’로 번역한다. 부정문이므로 ‘___할 만큼 충분히(아주) ...하지 않다’로 번역한다. cf. She is too smart not to solve this difficult problem. (그녀는 아주 영리해서 이 어려운 문제를 풀 수 있다.) |
|
0659 | He didn’t run fast enough to win the first prize. |
... enough to ___용법이다. 동사 did run과 win의 주체는 모두 He다. 부정사구는 부사 enough를 수식하고, enough는 앞의 부사 fast를 수식한다. |
|
0660 | This chair is not strong enough for me to stand on. |
... enough to ___용법이다. 동사 is의 주체는 chair고, 부정사구의 동사 stand의 주체는 의미상 주어 me다. 전치사 ‘on’이 있는 이유는 책상 ‘위에’ 서기 때문이다. |
|
'단계영어123'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계(123 시간) 영어 - 068 (0) | 2022.11.08 |
---|---|
단계(123시간) 영어 - 067 (0) | 2022.11.07 |
단계(123시간) 영어 - 065 (0) | 2022.11.05 |
단계(123시간) 영어 - 064 (0) | 2022.11.04 |
단계(123시간) 영어 - 063 (0) | 2022.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