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정사구18

단계(123시간) 영어 - 061 061: 부정사구의 형용사적 용법 1 - 앞의 명사 수식 Ⅰ. 형용사적으로 쓰인 부정사구는 앞의 명사를 수식한다. 1. 주어로 온 명사를 수식한다. cf. To train a dog is his job.(개를 훈련시키는 것이 그의 일이다.) ① A man to train a dog will come here soon. (개를 훈련시킬 사람이 곧 이리 올 것이다.) - 비교 문장에서 To train a dog을 삭제하면 문장이 성립하지 않는다. 주어가 없기 때문이다(명사적 용법). 그러나 ①-문장에서 부정사구 to train a dog을 지우면, “A man will come here soon.”이 된다. 삭제해도 완벽한 1형식이다. 따라서 부정사구는 수식하기 위해 덧붙여진 것이다. 앞의 주어인 명사 ma.. 2022. 11. 1.
단계(123시간) 영어 - 060 060: ‘... to + 동사 원형’의 형태로 조동사처럼 쓰이는 어구들 Ⅰ.‘... to + 동사 원형’의 형태를 지닌 조동사들 ‘Will, Would, Can, Could, May, Might, Must, Shall, Should’ 등의 조동사 이외에도, 두 단어 이상으로 된 조동사들이 있다. 이런 조동사들의 특징은 to가 있고, to 다음에 동사 원형이 온다는 것이다. 1. be to(am to, are to, is to, was to, were to) 1) 운명: ‘...할 운명이다’, ‘운명적으로 ...하다(=be destined to)’ ① Man is to die.(인간은 운명적으로 죽는다.) cf. Man’s destiny is to die.(인간의 운명은 죽는 것이다.) - ①-문장에서 .. 2022. 10. 31.
단계(123시간) 영어 - 059 059: 의문 부정사구(부정사구 안에 의문사가 들어 있는 경우) - 의문사가 부정사구의 to 앞으로 나온다. Ⅰ. 부정사구 안에 의문사가 들어 있는 부정사구 - 의문 부정사구 부정사구 안에 의문사가 들어 있는 경우, 의문사는 to 앞에 온다. 이런 형식의 부정사구를 ‘의문 부정사구’라고 하며, 언제나 명사적으로 쓰인다. 즉, 문장 안에서 주어, 보어, 목적어로 쓰인다. cf. She likes to watch football.(그녀는 축구를 보는 것을 좋아한다.) ① She does not know how to play football. - 부정사구는 목적어 (그녀는 축구를 어떻게 하는지를 모른다.) - 비교 문장은 부정사구가 동사 likes의 목적어로 왔다. ①-문장은 원래 to play footbal.. 2022. 10. 29.
단계(123시간) 영어 - 058 058: 부정사구 안의 동사의 주체 - 부정사구의 의미상 주어 나타내기 Ⅰ. 부정사구 안의 동사도 주체를 가진다. - 본동사 주체와 부정사구의 동사의 주체가 같거나, 추측해 낼 수 있다 ① I want to stay here.(나는 여기서 머물기를 원한다.) - 본동사 want의 주체와 부정사구의 동사 stay의 주체가 같다. ‘I’다. 즉 ‘I’가 좋아하고, ‘I’가 머문다. ② My father’s dream is to retire at sixty. (나의 아버지의 꿈은 60살에 은퇴하는 것이다.) - 본동사 is의 주체는 dream이다. dream이 은퇴할 수 없기 때문에, 이것이 부정사구의 동사 retire의 주체가 될 수 없다. 하지만 retire의 주체가 my father’s dream으로부터.. 2022. 10.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