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사절9 도마복음 Logion 21-10 : 말씀 21-10 1. 첫번째 문장에서 When은 부사절을 이끈다 2. 첫번째 문장은 1형식이다: 주어 = he, 동사 = came 3. 동사 came을 수식하는 부사(quickly)와 전치사구(with his sickle)가 있다. 4. 그리고 전치사의 목적어인 sickle을 수식하는 전치사구(in his hand)가 또 있다. 형용사적이다. 5. 두번째 문장에서 He는 a wise person을 가리키고, it은 grape를 가리킨다. 둘이 같은 것이 아니므로 it은 주격보어가 될 수 없고, 목적어가 된다. 따라서 3형식이다. 2022. 10. 19. 도마복음 Logion 21-8 : 말씀 21-8 1. 전체 문장은 재귀대명사(yourselves)가 목적어로 온 3형식 명령문이다. 2. 문장은 동사로 쓰인 Arm을 수식하는 부사구 하나와 2개의 부사절로 구성된다. 3. 부사구는 전치사구(with great strength)로 방법을 나타낸다. 4. 첫 번째 부사절을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접속사 so that이 이끈다. 그리고 목적어로 온 way를 수식하는 부정사구(to come to you)가 있다. 5. 두 번째 부사절은 이유를 나타내는 것으로 접속사 because가 이끈다. 그리고 목적어로 온 possessions를 수식하는 형용사절이 왔다. 여기선 접속사 which가 생략되었다. 2022. 10. 14. Logion 18-2 : 말씀 18-2 1. 전체 문장은 3형식으로 인용절이 목적어로 왔다 2. 인용절에서 1) 동사가 2개(Have discovered, seek) 있으므로 접속사가 1개 있어야 한다: that 2) 그럼 that절이 명사절인가, 형용사절인가, 부사절인가? 3) 명사절이라면 주절이 불완전해야 한다. 완전한 3형식이다. (동사 = have discovered, 목적어 = beginning) 4) 형용사절이라면 that절이 불완전해야 한다. 완전한 3형식이다. (동사 = seek, 목적어 = end) 5) 따라서 that절은 부사절이다. 원칙적으로 하면 (so) that이 와야 한다: 결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2022. 9. 22. Logion 15 : 말씀 15 1. 인용절이 목적어로 온 3형식 문장이다. 2. 인용절의 첫번째 문장 1) When이 이끄는 시간의 부사절이 앞에 온 문장이다. 2) 주절은 명령문이다. 주어 You가 생략되었다. 3) and는 동사 fall과 worship을 이어준다. 즉 주절은 동사가 2개인 문장이다. 말하자면 예수님은 2가지 행위를 명령하는 것이다. 4) 따라서 부사절은 이 2개의 동사를 수식한다. 5) When이 이끄는 부사절은 3형식으로, 목적어로 온 one을 수식하는 who가 이끄는 형용사절이 왔다. 6) him = the one 3. 인용절의 두 번째 문장 1) That은 지시형용사로 쓰여, 대명사 one을 수식한다. 2) Be동사(is) 다음에 명사(Father)가 오면 그 문장은 2형식이다. 그 명사는 주격보어다. 3).. 2022. 9. 14.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