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077: 보어 역할을 하는 현재 분사구와 과거 분사구
Ⅰ. 분사구는 형용사적으로 쓰이므로, 명사를 수식할 뿐만 아니라 보어로도 쓰인다.
첫째로, 동사 뒤에 형용사가 단독으로 오면 주격 보어다. 따라서 형용사적으로
쓰이는 분사구가 동사 다음에 오면 주격 보어다. 이 경우 분사구는 주어의
상태나 상황을 나타낸다.
둘째로, 목적어 다음에 형용사가 단독으로 오면 목적격 보어다. 따라서 목적어
다음에 형용사적으로 쓰이는 분사구가 오면 목적격 보어다.
Ⅱ. 현재 분사구는 형용사적으로 쓰이므로, 보어로도 쓰인다.
1. 주격 보어: 주어 + 동사 + 현재 분사구
① My brother came running here.
(나의 형은 이리로 달려서 왔다.)
- 현재 분사구는 running here는 형용사적으로 쓰이므로 주격 보어가
될 수 있다. 이때 running의 주체는 본동사의 주어인 brother다.
② A toddler was crawling crying loudly.
(한 어린 아이가 크게 울면서 기어가고 있었다.)
- crawling은 앞의 be 동사 was와 함께 진행형을 만들고 있고.
crying은 현재 분사구로 보어다. 이 현재 분사구의 주체는 toddler다.
③ We stood looking at the beautiful landscapes.
(우리는 아름다운 경치를 바라보며 서 있었다.)
- looking at은 현재 분사구로 주격 보어로 쓰여, 주어가 어떤 상황에 있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2. 목적격 보어: 주어 + 동사 + 목적어 + 현재 분사구
④ I saw my elder brother running around the park.
(나는 나의 형이 공원 주위로 달리고 있는 것을 보았다.)
- 현재 분사구는 또한 목적격 보어일 수 있다. 이때 현재 분사구의 주체는
목적어인 brother다.
⑤ I felt myself sinking below the water.
(나는 나 자신이 물 아래로 가라앉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
- 현재 분사구 sinking은 목적격 보어로 쓰였다. 이것의 주체가
목적어인 myself이기 때문이다.
Ⅲ. 과거 분사구는 형용사적이므로, 보어로도 쓰인다.
1. 주격 보어: 주어 + 동사 + 과거 분사구
① The old man sat surrounded by his sons.
(그 노인은 그의 아들들에 의하여 둘러싸여 앉아 있었다.)
- 과거 분사구 surrounded by his sons는 형용사적으로 쓰여 주격 보어다.
이것의 주체가 본동사의 주어인 The old man이기 때문에 과거 분사구가
온 것이다.
② They stood surprised at the sight of the big building.
(그들은 큰 빌딩을 보고 놀란 채로 서있었다.)
- 과거 분사구 surprised는 주격 보어다. 이것의 주체는 They다.
2. 목적격 보어: 주어 + 동사 + 목적어 + 과거 분사구
③ I saw the old man surrounded by his sons.
(나는 그 노인이 그의 아들들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것을 보았다.)
- 과거 분사구(surrounded by his sons)도 또한 목적격 보어일 수 있다.
이때 과거 분사구의 주체는 목적어(the old man)다.
④ We found the golden ring stolen.
(우리는 금반지가 도난당했다는 것을 알았다.)
- 과거 분사구 stolen은 목적격 보어로, 이것의 주체는 ring이다.
cf. We found the stolen golden ring.(우리는 도난당한 금반지를 찾았다.)
- 여기서 과거 분사구 stolen은 형용사적으로 목적어인 ring을 수식한다.
Ⅳ. 사역 동사 have 또는 get + 목적어 + 과거 분사
“...을 ~ 당하다” 또는 “...을 ~시키다”는 의미를 가진다.
① I had my computer repaired.
(나는 나의 컴퓨터를 수리시켰다.)
② I had my baggage sent to my house.
(나는 나의 가방을 집으로 운반시켰다.)
③ I got my car stolen twice last year.
(나는 작년에 나의 차를 두 번 도난당했다.)
④ I must get my hair cut.
(나는 나의 머리를 잘려지도록 시켜야만 한다<잘라야만 한다>.)
==============================================
P-077: 보어 역할을 하는 현재 분사구와 과거 분사구
0761 | She came running here to see her mother. |
문장 구조적으로 동사 came 다음에 현재 분사구가 왔다. 현재 분사구는 형용사적으로 쓰이므로, 현재 분사구 running ... mother는 주격 보어로 쓰였다. 또 의미상으로 run(ning)의 주체는 She다. 또한 현재 분사구 안에 목적이나 의도를 나타내는 부정사구 to see her mother가 왔다. 분사구 안에도 모든 형식과 형태의 문장이 올 수 있다. |
|
0762 | The soldiers lay dying in the field. |
본동사는 자동사인 lie의 과거인 lay가 왔다. 목적어를 취하지 못한다. 현재 분사구 dying은 형용사적이다. 따라서 dying은 주격 보어로 왔다. 또한 dying의 주체는 soldiers다. |
|
0763 | I found my daughter still weeping in her room. |
타동사 found 다음에 목적어인 daughter가 오고 현재 분사구 weeping이 왔다. 그렇다면 구조적으로 5형식이다. 왜냐하면 현재 분사구는 형용사적으로 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weeping은 목적격 보어이며, 주체는 daughter다. still은 부사로 weeping을 수식한다. |
|
0764 | I heard the sparrows singing among the tress. |
타동사 heard 다음에 명사인 목적어 sparrows가 오고 형용사적으로 쓰이는 현재 분사구가 왔다. 5형식이다. singing의 주체는 sparrows다. 주술 관계가 성립한다(sparrows sang.) 따라서 현재 분사구 singing ... trees는 목적격 보어로 왔다. |
|
0765 | The family seemed satisfied with their new house. |
보통 2형식을 취하는 동사 seemed 다음에 형용사적으로 쓰이는 과거 분사구가 왔다. 그렇다면 2형식이다. 과거 분사구가 온 것은 가족들이 만족시킨 것이 아니라 만족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거 분사구 satisfied ... house는 주격 보어다. |
|
0766 | Most soldiers returned exhausted. |
동사 returned 다음에 과거 분사구 exhausted가 왔다. 과거 분사구는 형용사적이므로 동사 다음에 형용사가 온 것이나 마찬가지다. 따라서 과거 분사구는 주격 보어다. 2형식이다. |
|
0767 | She appears shocked to hear the news. |
동사 appears는 ...처럼 보이다는 의미로 쓰였다. 뒤에 과거 분사구가 왔다. 형용사가 온 것이나 마찬가지다. 따라서 과거 분사구는 주격 보어이며, 주체는 She다. 2형식이다. 다음에 온 부정사구 to hear the news는 shocked를 수식한다. 과거 분사구 안에 부정사구가 온 것이다. |
|
0768 | Yesterday my sister had her wisdom tooth pulled at the dental clinic. |
사역 동사 have + 목적어 + 과거 분사구의 구조로 된 문장은 “...을 ~ 당하다” 또는 “...을 ~시키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때 과거 분사구 pulled는 목적격 보어다. 사랑니를 뽑게 시켰다는 의미, 즉 뽑았다는 의미다. |
|
0769 | Where did you get your business card printed? |
get + 목적어 + 과거 분사구의 구조로 된 문장은 “...을 ~ 당하다” 또는 “...을 ~시키다”는 의미를 가진다. 명함을 어디서 인쇄했느냐는 의미다. 과거 분사구 printed는 목적격 보어다. |
|
0770 | He had his leg broken at the train accident. |
사역 동사 have + 목적어 + 과거 분사구의 구조로 된 문장은 “...을 ~ 당하다” 또는 “...을 ~시키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때 his legs는 목적어이고, 과거 분사구 broken은 목적격 보어다. 다리를 다쳤다는 의미다. |
|
'단계영어123'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계(123시간) 영어 - 079 (0) | 2022.11.20 |
---|---|
단계(123시간) 영어 - 078 (0) | 2022.11.20 |
단계(123시간) 영어 - 076 (0) | 2022.11.17 |
단계(123시간) 영어 - 075 (0) | 2022.11.16 |
단계(123시간) 영어 - 074 (0) | 2022.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