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계영어123

단계(123시간) 영어 - 052

by 생각하는 하늘 2022. 10. 21.
728x90

052: 부정사구의 형태와 의미, 그리고 부정사구의 명사적 용법 1

         - 문장 안에서 목적어 역할 (1)

 

. 부정사구(不定詞句, Infinitive)의 형태

     세 번째 구는 부정사구. 부정사구는 ‘to + 동사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to는 전치사가 아니다. 부정사구를 만드는 표시일 뿐이며, to

     의미가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문장 안에서의 역할에 따라 여러 가지

     의미를 갖기 때문에 부정사구라고 한다.

 

   cf. He went to the school.(그는 학교에 갔다.)

   ① He wanted to go there.(그는 그곳에 가기를 원했다.)

   - 비교 문장의 to는 전치사로 뒤의 명사 school과 함께 전치사구를 만든다.

     하지만 -문장의 to는 뒤의 동사 원형 go와 함께 부정사구를 만든다.

     이때 to허사(虛詞)’, 이것이 포함된 부정사구가 문장 안에서 하는

     역할에 따라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진다.

 

. 부정사구의 세 가지 용법 - 문장 안에서의 여러 가지 다른 역할

   1. 명사적 용법: 문장 안에서 명사처럼 목적어, 주어, 보어로 쓰인다.

   ① To eat is a pleasant thing.(먹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 To eat이 주어로 쓰였기 때문에 명사적 용법이다.

 

   2. 형용사적 용법: 문장 안에서 형용사처럼 앞의 명사를 수식한다.

   ② I have something to eat.(나는 먹 것을 가지고 있다.)

    - to eat이 앞의 명사 something을 수식하므로 형용사적 용법이다.

 

   3. 부사적 용법: 문장 안에서 부사처럼 동사, 형용사, 부사를 수식한다.

   ③ I went there to eat.(나는 먹기 위하여 그곳에 갔다.)

    - to eat이 동사 went를 수식하므로 부사적 용법이다.

 

부정사구 ‘to eat’에서 보듯이, 부정사구의 to는 용법에 따라서 ‘...’, ‘...()’,

‘...(하기) 위하여등으로 번역된다. ‘To’의 의미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부정사구라고 한다. ‘의미가 정해져 있지 않다는 것이다.

즉 명사적으로 쓰였느냐, 형용사적으로 쓰였느냐, 부사적으로 쓰였느냐에 따라

부정사구를 구성하는 ‘to’의 의미가 달라지는 것이다.

 

 

. 부정사구의 명사적 용법

   부정사구의 명사적 용법은 부정사구가 문장 안에서 부정사구가 목적어, 주어,

   보어로 쓰이는 경우를 말한다.

 

   1. 목적어로 쓰인다. - ‘...것을()’

   ① He wants to eat an apple every morning.

        (그는 매일 아침에 사과를 먹는 것을 원한다.)

 

   2. 주어로 쓰인다. - ‘..것이()’

   ② To eat an apple every morning is his long habit.

       (매일 아침에 사과를 먹는 것이 그의 오랜 습관이다.)

 

   3. 보어로 쓰인다. - ‘...것이다

   ③ His long habit is to eat an apple every morning.

       (그의 오랜 습관은 매일 아침에 사과를 먹는 것이다.)

 

   똑같은 to eat an apple (in) every morning이지만, 위치와 역할에 따라 쓰임이

   달라지며, to의 번역도 달라진다.

 

. 목적어로 쓰인 부정사구

   cf. He wants it.(그는 그것을 원한다.)

   ① He wants to eat an orange.(그는 오렌지를 먹기를 원한다.)

    - 비교 문장의 목적어로 온 it 대신에 부정사구 to eat an orange가 왔다.

      즉 부정사구가 목적어로 온 것이다.

 

   cf. She wants this book.(그녀는 이 책을 원한다.)

   ② She wants to buy this book.(그녀는 이 책을 사기를 원한다.)

   ③ She wants to read this book.(그녀는 이 책을 읽기를 원한다.)

   - 비교 문장의 목적어 this book 대신에, -문장에서는 부정사구

     to buy this book, -문장에서는 부정사구 to read this book이 왔다.

    부정사구가 목적어로 온 것이다. 이렇게 상황을 더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부정사구를 사용한다.

 

=====================================================

P-052: 부정사구의 형태와 의미, 그리고 부정사구의 명사적 용법 1

             - 문장 안에서 목적어 역할 (1)

0511 To eat is necessary for our survival.
is가 동사다. 일반적으로 동사 앞에 있는 것이 주어다. 그러나 앞의 eat
동사이므로 주어가 될 수 없다. 그런데 앞에 To가 있으므로 ‘To와 동사 원형
eat’이 합쳐져서 부정사구를 만들었으며, 이 부정사구가 명사적으로 쓰여
주어가 된 것이다.
 
0512 In my bag I have two cookies to eat.
In my bag은 전치사구로 강조하기 위하여 앞으로 나왔다. I have two cookies
3형식 문장이 완성되었다. 따라서 부정사구 to eat은 수식 요소 역할을 하며,
앞의 명사 cookies를 수식하므로 형용사적이다.
 
0513 I went to this restaurant to eat lunch.
I went1형식 문장이 완성되었으며, to this restaurant는 전치사구로 동사
went를 수식한다. 부정사구 to eat lunch도 수식 요소로 동사 went를 수식하므로
부사적이다. 앞의 to는 전치사며, 뒤의 to는 부정사구를 만드는 허사다.
 
0514 I want to speak English fluently.
동사 want는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다. 따라서 부정사구 to speak English
fluently가 목적어로 쓰였다. 그러므로 부정사구의 명사적 용법이다.
 
0515 I hope to see you again.
동사 hope는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다. 따라서 부정사구 to see you again
명사적으로 목적어로 쓰였다.
 
0516 She agreed to help the poor.
동사 agree도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다. 따라서 부정사구 to help the poor
명사적으로 목적어로 쓰였다. ‘the + 형용사는 형용사의 성질을 가진 사람들을
가리킨다. 따라서 ‘the poor’가난한 사람들을 나타낸다.
 
0517 I would like to visit your office next week.
동사 like도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다. 따라서 부정사구 to visit your office next
week은 명사적으로 목적어로 쓰였다. ‘would like to 동사 원형‘...을 하고
싶다는 의미다. next week 앞에 전치사 on이 생략되었으므로 week은 부사적
목적어로 동사 visit를 수식한다.
 
0518 She hates to practice the piano in the evening.
동사 hate도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다. 따라서 부정사구 to practice the piano in
the evening은 명사적으로 목적어로 쓰였다. 전치사구 in the evening은 부정사구
안의 동사 practice를 수식한다.
 
0519 The couple pretended to be happy.
동사 pretend도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다. 따라서 부정사구 to be happy
명사적으로 목적어로 쓰였다. pretend‘...을 가장하다는 뜻으로
‘...하는 척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0520 We cannot afford to buy this luxurious mansion.
동사 afford도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다. 따라서 부정사구 to buy this luxurious
mansion은 명사적으로 목적어로 쓰였다. afford 다음에는 부정사구가 오는 것이
보통이다. afford는 조동사 can(not)과 함께 쓰여 ‘....할 여유가 있다(없다)’의 뜻을
가진다.
 

 

'단계영어123'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계(123시간) 영어 - 054  (0) 2022.10.24
단계(123시간) 영어 - 053  (0) 2022.10.22
단계(123시간) 영어 - 051  (0) 2022.10.20
단계(123시간) 영어 - 050  (0) 2022.10.19
단계(123시간) 영어 - 049  (0) 2022.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