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081: 문장의 구성 단계: 단어 ⟶ 구 ⟶ 절
Ⅰ. 문장의 구성 단계
1. 하나의 품사로서 역할을 하는 단어들로만 구성된 문장
① The man looks very happy.(그 남자는 매우 행복하게 보인다.)
1) The: 형용사(정관사)로서 뒤의 명사 man을 수식한다.
2) man: 명사로서 주어 역할을 한다.
3) looks: 동사로서 서술 동사 역할을 한다.
4) very: 부사로서 수식어 역할을 한다. 형용사 happy를 수식한다.
5) happy: 형용사로서 주격 보어 역할을 한다.
2. 하나의 품사로서 역할을 하는 구가 들어 있는 문장
② The man in the corner looks very happy.
(구석에 있는 그 남자는 매우 행복하게 보인다.)
- 두 개 이상의 단어가 합쳐진 구가 하나의 품사처럼 역할을 한다.
in the corner는 ‘전치사구(전치사 + 명사)’로 앞의 명사를 수식한다.
형용사처럼 쓰인 것이다.
③ The man dressed in a red coat looks very happy.
(빨간 코트를 입은 그 남자는 매우 행복하게 보인다.)
- ‘과거 분사구’ dressed in a red coat는 앞의 명사 man을 수식한다.
따라서 과거 분사구(동사 원형 + ed)가 형용사 역할을 한 것이다.
④ The woman sitting alone on a bench seems to be unhappy.
(벤치에 혼자 앉아 있는 그 여자는 불행한 것처럼 보인다.)
- ‘현재 분사구’(동사 원형 + ing) sitting alone은 앞의 명사 woman을
수식하므로 형용사 역할을 한 것이며, 뒤의 ‘부정사구(to + 동사 원형)’
to be unhappy는 명사처럼 쓰여 주격 보어가 되었다.
⑤ He got up early to catch the first train.(그는 첫 기차를 타기 위해 일찍 일어났다.)
- ‘부정사구’ to catch the first train은 부사적으로 쓰여 동사를 수식한다.
⑥ He went out without saying good-bye.(그는 안녕이라 말하지 않고 밖으로 나갔다.)
- ‘동명사구’(동사 원형 + ing) saying good-bye는 명사처럼 쓰여 전치사의
목적어가 되었다. 나아가, 전치사(without)와 명사 역할을 하는 동명사구가
합쳐져서 전치사구(without saying good-bye)를 만들어 동사를 수식한다.
3. 작은 문장과 작은 문장으로 이루어진 큰 문장
⑦ The man looks happy, but the woman seems to be unhappy.
(그 남자는 행복하게 보이지만, 그 여자는 불행한 것처럼 보인다.)
- 영어 문장은 대문자로 시작해서 마침표, 혹은 물음표, 느낌표로 끝난다.
큰 문장이란 2개 이상의 작은 문장으로 이루어진 문장을 말한다.
동등 접속사 but은 이제 단어와 단어, 구와 구뿐만 아니라 문장과 문장을 이어주기도 한다.
즉 동등 접속사 but에 의하여 앞 문장 “The man looks happy.”와
뒤 문장 “the woman seems to be unhappy.”가 이어져서 큰 문장을 만들었다.
이때 작은 문장을 ‘절’이라고 하며, 이때 작은 문장들을 이어주는 ‘접속사’가 있어야 한다.
Ⅱ. 절이란 큰 문장 속의 작은 문장이다 – 접속사(동등 또는 종속 접속사)가 필요하다.
1. 동등절: 동등(상관) 접속사로 연결된 큰 문장 속의 작은 문장들을 말한다.
① This machine is a toaster, and that machine is a micro oven.
(이 기계는 토스터이고, 저 기계는 마이크로 오븐이다.)
② It is sunny, but it is cold.(햇빛이 나지만, 춥다.)
③ He is a nurse, or he is a doctor.(그는 간호사이거나, 그는 의사이다.)
④ Either help me or go away.(나를 도와주든가, 가버려라.)
- 동등 접속사 and, but, or, 또는 상관 접속사 Either ~ or –로 이어진 앞
문장과 뒤의 문장을 각각 ‘동등절’이라고 한다.
2. 종속절: 종속 접속사가 이끄는 문장으로 큰 문장 속에서 명사, 형용사,
부사처럼 쓰인다.
1) 명사절: I don’t know when he arrived here.
(나는 그가 언제 여기에 도착했는지 모른다.)
- 동사 know의 목적어로 명사처럼 쓰였다.
2) 형용사절: I don’t know the time when he arrived here.
(나는 그가 여기에 도착한 시간을 모른다.)
- time을 수식하여 형용사처럼 쓰였다.
3) 부사절: I was sleeping when he arrived here.
(그가 도착했을 때, 나는 자고 있었다.)
- 동사 was sleeping을 수식하여 부사처럼 쓰였다.
*** 종속절은 동등절을 다룬 후에 자세히 다룰 것이다.
=========================================
Practice-081: 문장의 구성 단계: 단어 ⟶ 구 ⟶ 절
0801 | Korean is not an easy language. |
한 단어가 하나의 품사로서 문장에서 각각의 역할을 한다; Korean(명사)-주어, is(동사)-서술 동사, not(부정 부사)-동사(is) 수식, an(관사, 형용사)-명사(language) 수식, easy(형용사)-명사(language) 수식, language(명사)-주격 보어 |
|
0802 | 1. Korean is not an easy language to learn. 2. Learning Korean is not easy. |
이제 구가 하나의 품사처럼 사용되어 문장을 구성한다. 문장이 길어지는 이유다. 1-문장은 부정사구 to learn이 첨가되어 부사적으로 앞의 형용사 easy를 수식한다. 2-문장은 동명사구 Learning Korean이 명사처럼 사용되어 주어 역할을 한다. |
|
0803 | Its grammar is really difficult. |
한 단어가 하나의 품사로서 문장에서 각각의 역할을 한다; Its(소유격)-명사(grammar) 수식, is(동사)-서술 동사, really(부사)-형용사(difficult) 수식, difficult(형용사)-주격 보어 |
|
0804 | Korean is not an easy language to learn and its grammar is really difficult. |
동등(상관) 접속사는 단어와 단어, 구와 구를 이어줄 뿐만 아니라 문장(절)과 문장(절)도 이어준다. 문장이 길어지는 이유다. 동등 접속사 and는 앞 문장(Korean ... to learn.)과 뒤 문장(its ... foreigners.)을 이어준다. |
|
0805 | 1. He is proud of his son. 2. He is proud of his son’s getting the scholarship. |
1-문장에서 전치사 of의 목적격은 명사 son이다. 2-문장에서 전치사 of의 목적격은 동명사구 getting the scholarship다. 전치사 of의 목적격으로 명사 대신에 명사 역할을 하는 동명사구가 왔다. son’s는 동명사구의 의미상 주어다. 이렇게 동명사구가 명사 역할을 하며, 의미가 덧붙여진다. |
|
0806 | 1. He has nothing. 2. He has nothing to eat. 3. He went to the restaurant to eat dinner. |
1-문장은 3형식으로 nothing은 부정 대명사로 목적어다. 2-문장에서 to eat은 부정사구로 앞의 대명사 nothing을 수식한다. 3-문장에서 전치사구 to ... restaurant과 부정사구 to eat은 부사적으로 went를 수식한다. 이렇게 구가 문장 안에서 여러 가지 역할(형용사와 부사)을 한다. |
|
0807 | 1. The man was in the hospital. 2. The man bitten by a mosquito was in the hospital. |
1-문장은 주어가 man인 1형식이다. 전치사구 in the hospital은 부사적으로 동사 was를 수식한다. 2-문장에서 bitten by a mosquito는 과거 분사구로 앞의 주어로 온 명사 man을 수식한다. 구가 형용사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의미도 덧붙여지며 문장도 길어진다. |
|
0808 | 1. The strong wind blew. 2. The leaves fell. 3. The strong wind blew and the leaves fell. |
이제 동등 접속사는 단어와 단어, 구와 구뿐만 아니라 문장과 문장도 이어준다. and는 앞 문장(The strong ... blew)과 뒤 문장(the leaves fell)을 이어주고 있다. |
|
0809 | I like to drink tea, but you like to drink coffee. |
동등 접속사는 단어와 단어, 구와 구뿐만 아니라 문장과 문장도 이어준다. 동등 접속사 but은 앞 문장(I ... tea.)과 뒤 문장(you ... coffee.)을 이어준다. |
|
0810 | Either give the knife back to her or pay her for it. |
상관 접속사도 단어와 단어, 구와 구뿐만 아니라 문장과 문장도 이어준다. 상관 접속사 Either ~ or는 앞 문장(give ... her)과 뒤 문장(pay ... it)을 이어준다. |
|
'단계영어123'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계(123시간) 영어 - 083 (0) | 2022.11.24 |
---|---|
단계(123시간) 영어 - 082 (0) | 2022.11.23 |
단계(123시간) 영어 - 제3단계(제3권) 시작 (0) | 2022.11.21 |
단계(123시간) 영어 - 080 (0) | 2022.11.20 |
단계(123시간) 영어 - 079 (0) | 2022.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