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계영어123
단계(123시간) 영어 - 065
생각하는 하늘
2022. 11. 5. 07:00
728x90
065: 부정사구의 부사적 용법 3 - 형용사 수식
Ⅰ. 부정사구는 부사적으로 쓰여 동사뿐만 아니라 형용사도 수식한다.
부정사구가 부사적으로 쓰여 동사뿐만 아니라 형용사도 수식할 수 있다.
이때 허사 ‘to’는 ‘... 때문에(...이여서)’, ‘...하기에’, ‘....하는 것을 보니’ 등 여러
의미를 갖는다.
Ⅱ. 이유 또는 원인:“... 때문에”, “...이여서”
① We are happy to be here with you.
(우리는 너희들과 함께 여기 있어서<있기 때문에> 행복하다.)
- 부정사구를 지우면 2형식이다. “우리는 행복하다.” 부정사구는 “너희들과
함께 여기 있다.”이다. 적절하게 연결해야 한다. 즉 주어가 행복한(happy)
이유를 부정사구 to be here with you가 표현하고 있다. 이때 부정사구는
형용사를 수식한다. 이렇게 부정사구는 동사뿐만 아니라 형용사도 수식할 수
있다. 이때 ‘to’는 ‘...때문에’로 번역한다.
② I was delightful to see him alive.
(나는 그가 살아있다는 것을 알고<알고서> 매우 기뻤다.)
- 왜 기쁜가(delightful)? 그 이유를 부정사구 to see him alive가 표현하고
있다. 부정사구는 5형식으로 동사는 see, 목적어는 him, 목적격 보어는
형용사인 alive다. 그가 살아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기뻤다.
③ I am sad for my mother to get sick.
(나는 나의 어머니께서 아프셔서<아프기 때문에> 슬프다.)
- 주어가 슬픈(sad) 이유를 부정사구 to get sick(아프다)가 표현하고 있다.
여기서 아픈 사람은 어머니이다. get의 의미상의 주어를 for my mother가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④ He was disappointed for her not to give him a hug.
(그는 그녀가 자기에게 포옹을 해주지 않아서 실망했다.)
- 주어가 실망한(disappointed) 이유를 부정사구 to give him a hug
(포옹을 해주다)가 표현하고 있으며, to 앞에 give를 부정하는 부사
not과 의미상의 주어를 나타내는 for her가 왔다. 부정사구는
“She did not give him a hug.”의 의미다.
Ⅲ. 어떤 측면:“...하기에”
① The water in this lake is not good to drink.
(이 호수의 물은 마시기에 좋지 않다.)
- 주어(water)가 좋지 않은데(not good), 어떤 측면에서 좋지 않은지를
부정사구 to drink(마시다)가 설명해 준다. 따라서 부정사구는 앞의
형용사 good을 수식한다. 이때 ‘to’는 ‘...하기에’로 번역한다.
② My father is easy to please.(나의 아버지는 기쁘게 해드리기에 쉽다.)
cf. It is easy to please my father.(나의 아버지를 기쁘게 하는 것은 쉽다.)
- 주어(father)가 쉬운데(easy), 어떤 측면에서 쉬운지를 부정사구 to please (기쁘게 하다)가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부정사구는 형용사 easy를 수식한다.
비교 문장은 가주어와 진주어가 있는 문장으로 ②-문장과 의미는 같다.
Ⅳ. 판단의 근거:“...하는 걸 보니”
① He must be stupid to believe her words.
(그는 그녀의 말을 믿는 걸 보니 어리석음에 틀림없다.)
- 말하는 사람이 주어(He)가 어리석다(stupid)고 판단을 내렸다.
그 판단의 근거를 부정사구 to believe her words(그녀의 말을 믿다)가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이 부정사구는 앞의 형용사 stupid를 수식한다.
이때 ‘to’는 ‘...하는 걸 보니’로 번역한다.
② She can not be mad to do so.
(그녀는 그렇게 하는 걸 보니 미칠 리가 없다.)
- 말하는 사람이 주어(She)가 미칠 리가 없다(can not be mad)는 판단을
내렸다. 그 판단의 근거를 부정사구 to do so(그렇게 하다)가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이 부정사구는 앞의 형용사 mad를 수식한다.
③ He must be considerate to behave like that.
(그처럼 행동하는 걸 보니 그는 사려깊음에 틀림없다.)
- 말하는 사람이 주어(He)가 사려깊다(considerate)고 판단을 내렸다.
그 판단의 근거를 부정사구 to behave like that(그처럼 행동하다)이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이 부정사구는 앞의 형용사 considerate를
수식한다. 여기서 like는 전치사로 쓰였다. 이 전치사의 목적어는 지시
대명사 that이다.
=======================================
P-065: 부정사구의 부사적 용법 3 - 형용사 수식
0641 | I am glad to see you again. cf. I came to see you again. |
“I am glad.”는 완벽한 2형식이다. 그러면 부정사구는 수식하기 위하여 덧붙인 것이다. ‘기쁘다.’ 왜 기쁜가? ‘너를 보아서다.’ 기쁜 이유를 부정사구가 나타낸다. 따라서 부정사구는 보어인 형용사 glad를 수식한다. 비교 문장에서는 ‘나는 왔다’와 ‘너를 다시 보다’를 적절하게 이어주어야 한다. 여기서는 목적(의도)으로 이어주는 것이 적절하다. 여기서는 부정사구는 동사 came을 수식한다. 즉 의미 관계에서 파악한다. 이렇게 의미 관계로 파악했을 때, 앞의 ‘to’는 ‘... 때문에’로 번역하고, 뒤의 ‘to’는 ‘...하기 위해서’로 번역한다. |
|
0642 | Korean is difficult for Europeans to learn. cf. It is difficult for Europeans to learn Korean. |
한국어는 어렵다.’ 어떤 측면에서 어려운가? 그 이유를 부정사구가 나타낸다. ‘배우기에 어렵다.’ 누가 배우는가? 앞의 for Europeans가 나타낸다. 부정사구의 의미상 주어다. 따라서 learn의 주체는 Europeans다. 부정사구(to learn)가 형용사(difficult)를 수식한다. 비교 문장에서는 It이 가주어고, 부정사구 to learn Korean이 진주어다. 부정사구는 명사적 용법으로 쓰인 것이다. 역시 for Europeans는 의미상의 주어를 나타낸다. |
|
0643 | He must be insane to behave like that. cf. He can not be sane to behave like that. |
그녀는 미쳤음에 틀림없다. 이것은 말한 사람의 판단이다. 이 판단의 근거는 무엇인가? 그 근거를 부정사구가 나타낸다. 그렇게 행동한다는 것이 그 근거다. 비교 문장도 미쳤을 리가 없다. 그 근거는 그렇게 행동한다는 것이다. |
|
0644 | I felt sorry to hear of the sad news. |
미안한 느낌의 이유를 부정사구가 나타낸다. 따라서 부정사구 to hear of the sad news는 앞의 형용사 sorry를 수식한다. |
|
0645 | Until recent years the oil was cheap and plentiful to use. |
전치사구 Until recent years가 문장 앞에 나왔다. 한편으론 강조하기 위해서, 다른 한편으론 수식 관계를 분명히 하기 위해서다. 즉 use를 수식하지 않고, was를 수식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앞으로 나갔다. 그리고 동등 접속사 and는 주격 보어인 형용사 cheap과 plentiful을 연결한다. 부정사구 to use는 앞의 형용사 plentiful을 수식한다. |
|
0646 | She is not easy to get along with. |
그녀는 쉽지 않다. 어떤 측면에서 쉽지 않은지를 부정사구가 나타낸다. 따라서 부정사구 to get along with는 앞의 형용사 easy를 수식한다. ‘get along with’는 동사구로 ‘어울리다, 사귀다, ~와 잘 지내다’의 뜻이다. |
|
0647 | I was very delightful to get Martin’s letter. |
아주 기뻤다. 왜 기뻤을까? 기뻤던 이유를 부정사구가 나타낸다. 따라서 부정사구 to get Martin’s letter는 앞의 형용사 delightful을 수식한다. |
|
0648 | He is really generous to help the poor. |
그가 정말로 마음이 넓다는 판단의 근거를 부정사구가 나타낸다. 가난한 사람들을 도와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부정사구 to help the poor는 앞의 형용사 generous를 수식한다. |
|
0649 | He must be smart to solve these difficult math problems. |
똑똑하다는 판단의 근거를 부정사구가 나타낸다. 이 어려운 수학 문제들을 풀었다는 것(to solve ... problems)이 그 근거다. |
|
0650 | He must have walked very fast to reach there so early. |
빨리 걸었었음에 틀림없다. 그 근거는 무엇인가? 부정사구가 나타낸다. 그곳에 그렇게 일찍 도착했다는 것(to reach there so early)이다. 이 경우 부정사구가 동사를 수식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