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계영어123
단계(123시간) 영어 - 060
생각하는 하늘
2022. 10. 31. 07:20
728x90
060: ‘... to + 동사 원형’의 형태로 조동사처럼 쓰이는 어구들
Ⅰ.‘... to + 동사 원형’의 형태를 지닌 조동사들
‘Will, Would, Can, Could, May, Might, Must, Shall, Should’ 등의
조동사 이외에도, 두 단어 이상으로 된 조동사들이 있다. 이런 조동사들의
특징은 to가 있고, to 다음에 동사 원형이 온다는 것이다.
1. be to(am to, are to, is to, was to, were to)
1) 운명: ‘...할 운명이다’, ‘운명적으로 ...하다(=be destined to)’
① Man is to die.(인간은 운명적으로 죽는다.)
cf. Man’s destiny is to die.(인간의 운명은 죽는 것이다.)
- ①-문장에서 is to는 조동사로 쓰였지만, 비교 문장에서는 is가 동사이고
부정사구 to die는 주격 보어로 왔다.
2) 의무: ‘...해야만 한다(=must, should)’
② The applicants for admission are to come in person.
(입학 지원자들은 반드시 직접 와야만 한다.)
3) 예정: ‘...할 예정이다(=will)’
③ The tourists are to depart tomorrow morning.
(그 여행자들은 내일 아침에 출발할 예정이다.)
4) 가능: ‘...할 수 있다(=can)’
④ Nobody was to be seen there.
(그곳에서 어느 누구도 보여질 수 없었다<누구도 볼 수 없었다>.)
- “We were to(could) see nobody there.”의 수동태 문장이다.
2. be able to: ‘...할 수 있다(=can)’
⑤ After surgery, my brother was able to walk again.
(수술 후에 나의 형은 다시 걸을 수 있었다.)
⑥ He was not able to return home.
= He was unable to return home.
(그는 집으로 돌아 올 수 없었다.)
3. be about to: ‘막(곧) ...하려고 하다(=will)’
⑦ Don’t go out now; we are about to have dinner.
(지금 밖으로 나가지 말아라: 우리는 곧 저녁 식사를 먹을 것이다.)
4. be going to: ‘...하려고 하다(=will)’
⑧ I am going to go to Ann’s birthday party.
(나는 Ann의 생일 파티에 가려고 한다.)
5. dare to: ‘감히 ...하다’(to가 생략되기도 한다)
⑨ Do you dare to climb this mountain alone?
(네가 감히 이 산을 혼자 오르려고 하느냐?)
6. have to: ‘...해야만 한다(=must)’
⑩ I have to go now, sir.(선생님, 저는 지금 가야만 합니다.)
7. ought to: ‘...해야만 한다(=should)’
⑪ You ought to visit your parents more often.
(너는 너의 부모님을 더 자주 방문해야만 한다.)
8. used to: ‘...하곤 했다(=would)’ - 과거의 습관을 나타낸다
⑫ I used to swim here every day.(나는 여기서 매일 수영하곤 했다.)
Ⅱ. 원형 부정사가 오는 관용적인 표현들도 있다.
1. cannot help but + 동사 원형: ‘...하지 않을 수 없다’
① I cannot help but accept her offer.
(나는 그녀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었다.)
2. had better + 동사 원형: ‘...하는 것이 좋다’
② You had better hurry up.(너는 서두르는 것이 좋다.)
3. would rather + 동사 원형: ‘...하느니 오히려(차라리) ...하고 싶다’
③ I would rather wait and see.(나는 차라리 기다리며 보겠다.)
4. do nothing but(except) + (to):
‘...하는 것 이외에 아무것도 안하다’, ‘...하기만 한다’
④ I could do nothing but agree.
(나는 동의하는 것 이외에 아무 것도 할 수 없었다<동의할 수밖에 없었다>.)
⑤ She never wanted anything except to become a singer.
(그녀는 가수가 되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원하지 않았다.)
- to가 오기도 한다.
==================================================
P-060:‘... to + 동사 원형’의 형태로 조동사처럼 쓰이는 어구들
0591 | 1. One bright star was to be seen here. 2. You are to do your homework right now. 3. He was never to see his daughter again. 4. We are to eat out tonight. |
조동사로 쓰이는 be to는 1. 가능, 2. 의무, 3. 운명, 4. 예정 등의 의미로 쓰인다. 문맥으로, 즉 의미상으로 그 뜻을 파악해야 한다. |
|
0592 | In a few days the baby will be able to walk. |
be able to는 can의 의미를 가진 조동사로 취급한다. 따라서 이 문장은 조동사가 2개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미래 조동사 will과 can이다. 전치사 in은 여기선 ‘...후’의 뜻이다. |
|
0593 | We had to keep still for about two hours. |
have(has, had) to는 must의 의미를 가진 조동사로 취급한다. ‘keep’은 ‘...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다’는 의미로, ‘still’은 형용사로 ‘움직이지 않고 (unmoved)’의 의미로 주격 보어다. ‘about’은 전치사가 아니라 부사로 ‘약(대략)’의 의미로 뒤의 수량 형용사 two를 수식한다. |
|
0594 | I used to smoke a lot; now I have stopped. |
used to는 would의 의미를 가진 조동사로 취급한다(과거의 습관). a lot 앞에는 by가 생략된 부사적 목적어다(많이, 매우, 훨씬). 동사 used to smoke를 수식한다. |
|
0595 | You ought to start at once. |
ought to는 should의 뜻을 가진 조동사로 취급한다. 전치사구 ‘at once’는 ‘즉시, 당장, 지체 없이’라는 뜻을 가진다. |
|
0596 | What are you going to do this afternoon? |
be going to는 will의 뜻을 가진 조동사로 취급한다. 의문문으로 what은 동사 do의 목적어지만 의문사이기 때문에 앞에 나왔다. 더 급박한 경우에는 be about to를 쓴다; I was about to ask you the same thing.(나도 네게 똑같은 걸 막 물어보려고 했어.) |
|
0597 | I did not dare to look at her. |
dare to는 감히 ...하다는 의미로 조동사로 취급한다. “He does not dare do it.”(그는 감히 그것을 하지 못한다<그는 그럴 용기가 없다>.) 에서처럼 to가 생략되기도 한다. |
|
0598 | The judge could not help but sentence him guilty. |
can(could) not help but는 관용구로 but 다음에는 동사 원형이 온다. 여기서 sentence는 동사로 ‘...형을 선고하다’는 의미다. him이 목적어, 형용사 guilty가 목적격 보어인 5형식이다. |
|
0599 | You had better consult your doctor immediately. |
have(has, had) better는 관용구로 ‘...하는 편이 낫다’는 의미를 가지며, better 다음에 동사 원형이 온다. |
|
0600 | 1. I would rather wait. cf. I would rather not wait. 2. I can do nothing but (to) wait. |
would rather는 관용구로 ‘차라리 ...하겠다’는 의미를 가진다. rather 다음에 동사 원형이 온다. I would rather go.(차라리 가고 싶다.) do nothing but (to) + 동사 원형은 ‘...하는 것 이외에 아무것도 안 하다, ...하기만 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