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계영어123
단계(123시간) 영어 - 059
생각하는 하늘
2022. 10. 29. 07:11
728x90
059: 의문 부정사구(부정사구 안에 의문사가 들어 있는 경우)
- 의문사가 부정사구의 to 앞으로 나온다.
Ⅰ. 부정사구 안에 의문사가 들어 있는 부정사구 - 의문 부정사구
부정사구 안에 의문사가 들어 있는 경우, 의문사는 to 앞에 온다. 이런 형식의
부정사구를 ‘의문 부정사구’라고 하며, 언제나 명사적으로 쓰인다.
즉, 문장 안에서 주어, 보어, 목적어로 쓰인다.
cf. She likes to watch football.(그녀는 축구를 보는 것을 좋아한다.)
① She does not know how to play football. - 부정사구는 목적어
(그녀는 축구를 어떻게 하는지를 모른다.)
- 비교 문장은 부정사구가 동사 likes의 목적어로 왔다. ①-문장은 원래
to play football how와 같이 부정사구 안에 의문사 how가 있는 경우다.
이때 how는 비록 부정사구 안의 동사 play를 수식하지만, 의문사이기 때문에
to 앞에 오는 것이 원칙이다. 이런 형식의 부정사구를 ‘의문 부정사구’다.
Ⅱ. 부정사구 안에 의문 대명사가 들어있을 경우 - who, whom, which, what
① Who to do the surgery is very important to the patient.
(누가 수술을 하는지는 환자에게 아주 중요하다.)
- Who는 부정사구 안의 동사 do의 주어지만(Who do the surgery),
의문사이므로 to 앞에 나왔으며, 이 의문 부정사구는 주어로 쓰였다.
② I did not decide whom to invite for my birthday.
(나는 내 생일에 누구를 초대할 것인지를 결정하지 않았다.)
- Whom은 부정사구의 동사 invite의 목적어지만(invite whom for my
birthday), 의문사이므로 to 앞으로 나왔으며, 이 의문 부정사구는 목적어로
쓰였다.
③ The most important thing is what to do for a living.
(가장 중요한 것은 생계를 위해서 무엇을 하는가이다.)
- What은 부정사구의 동사 do의 목적어지만(do what for a living),
의문사이므로 to 앞으로 나왔으며, 이 의문 부정사구는 주격 보어로 쓰였다.
④ I don’t know which to believe.(나는 어떤 것을 믿어야 할지 모른다.)
- Which는 부정사구의 동사 believe의 목적어지만(believe which),
의문사이므로 to 앞에 왔으며, 이 의문 부정사구는 목적어로 쓰였다.
Ⅲ. 부정사구 안에 의문 형용사가 들어있을 경우 - whose, which, what
① We didn’t agree whose car to use for this travel.
(우리는 이번 여행에 누구의 차를 이용할지 합의를 보지 못했다.)
- whose는 뒤의 명사 car를 수식하는 의문 형용사다. 그런데 car는
부정사구의 동사 use의 목적어다(use whose car ...). 먼저 whose는 to
앞으로 나오며, 또한 car는 whose의 수식을 받으므로 함께 앞으로 나왔다.
② The doorman showed me which button to press.
(그 도어맨이 나에게 어떤 버튼을 누르는지를 보여주었다.)
- 의문사 which는 뒤의 명사 button을 수식하는 의문 형용사다.
그런데 button은 부정사구의 동사 press의 목적어다. 이 button은
의문 형용사 which의 수식을 받으므로 함께 to 앞으로 나왔다.
③ I don’t know what books to read for this semester.
(나는 이번 학기에 무슨 책들을 읽을지를 모른다.)
- What은 의문 형용사로 books를 수식하며, books는 부정사구의 동사
read의 직접 목적어지만, what과 함께 to 앞으로 나왔다.
Ⅳ. 부정사구 안에 의문 부사가 들어있을 경우 - where, when, how, why
① I didn’t know where to park my car.(나는 내 차를 어디에 주차할지를 몰랐다.)
- 의문 부사 where는 park를 수식하지만 의문사이므로 to 앞으로 나왔다.
의문 부정사구는 know의 목적어다.
② Please let me know when to leave for Chicago.
(제발 나에게 언제 시카고로 떠날 것인지를 알게 해주세요.)
- 의문 부사 when은 leave를 수식하지만 to 앞으로 나왔다. 또 let은 사역
동사이므로 know 앞에 to가 생략되었으며, 이 부정사구는 let의 목적격
보어이며, 또하나의 의문 부정사구는 know의 목적어다.
③ Could you tell me how to go to the city hall?
(당신은 나에게 어떻게 시청에 가는지 말해 줄 수 있나요?)
- 의문 부사 how는 go를 수식하지만 의문사이므로 to 앞으로 나왔다.
의문 부정사구는 목적격 보어다.
④ Please tell your teacher why to think so.
(너의 선생님께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를 말씀드려라.)
- 의문 부사 why는 think를 수식하지만 의문사이므로 to 앞으로 나왔다.
의문 부정사구는 직접 목적어다.
==================================================
P-059: 의문 부정사구(부정사구 안에 의문사가 들어 있는 경우)
- 의문사가 부정사구의 to 앞으로 나온다.
0581 | The most important thing in our life is how to live. |
동사는 is다. 주어는 thing이다. 그리고 의문 부정사구 how to live가 주격 보어다. How는 부정사구의 동사 live를 수식하지만 의문사이므로 to 앞으로 나왔다. 의문 부정사구의 동사 live의 주체는 we다. our life로부터 추측해낼 수 있다. |
|
0582 | What to do for a living is the second important thing. |
동사는 is다. 의문 부정사구가 주어로 왔다. what은 부정사구의 동사 do의 목적어지만 의문사이므로 to 앞으로 나왔다. 의문 부정사구의 동사 do의 주체는 일반인(We, They 또는 One)이다. |
|
0583 | I don’t know whom to ask this difficult question. |
동사는 do know다. 의문 부정사구가 목적어로 왔다. 부정사구는 4형식으로 whom이 간접 목적어지만 의문사이므로 to 앞으로 나왔다. 본동사 know의 주체와 부정사구의 동사 ask의 주체는 ‘I’다. |
|
0584 | The parents didn’t decide which house to buy their son. |
동사는 did decide다. 의문 부정사구가 목적어로 왔다. which는 의문 형용사로 house를 수식한다. house는 부정사구 안에서 직접 목적어지만, which의 수식을 받기 때문에 which를 따라 같이 앞으로 나왔다. |
|
0585 | Please, tell me what to do tomorrow. |
명령문이다. 목적어는 me이며, 의문 부정사구가 목적격 보어다. 5형식이다. what은 의문 대명사로 부정사구의 동사 do의 목적어지만 to 앞으로 나왔다. |
|
0586 | Could you tell me how to persuade my son? |
의문문이다. 동사는 (could) tell이며, me가 목적어, 그리고 목적격 보어로 의문 부정사구 how to persuade my son이 왔다(5형식). how는 의문 부사로 부정사구의 동사 persuade를 수식하지만 의문사이므로 to 앞으로 나왔다. |
|
0587 | How did you know where to find me? |
의문문이다. 동사 did know의 목적어로 의문 부정사구 where to find가 왔다 (3형식). where는 의문 부사로 부정사구의 동사 find를 수식하지만 to 앞으로 나왔다. |
|
0588 | Will you advise me which to choose? |
5형식으로 목적어는 me고, 의문 부정사구 which to write가 목적격 보어로 왔다. which는 의문 대명사로 choose의 목적어지만 to 앞으로 나왔다. |
|
0589 | The teacher told the students what essay to write. cf. He told the students why to write this essay. |
5형식으로 목적어는 students고, 의문 부정사구 what essay to write가 목적격 보어로 왔다. 부정사구 안에서 essay는 write의 목적어지만 의문 형용사 what의 수식을 받기 때문에 to 앞으로 나왔다. 비교 문장도 목적어는 students고, 의문 부정사구 why to write this essay가 목적격 보어로 왔다. 부정사구는 3형식으로 essay가 목적어다. 의문 부사 why는 동사 write를 수식하지만 to 앞으로 나왔다. |
|
0590 | You need to know when to buy the right wines at the right price. |
동사는 need다. 목적어로 부정사구 to know ... price가 왔다. 부정사구 안에서 또 의문 부정사구 when to buy ... price가 know의 목적어로 왔다. 부정사구 안에 부정사구가 온 것이다. 부정사구 안에 모든 형태의 문장이 올 수 있기 때문이다. when은 부정사구의 동사 buy를 수식하는 의문 부사지만 to 앞으로 왔다. |
|